국산 전투기 KF-21 1호기에 이어 2호기도 첫 비행 성공…시속 407㎞로 35분간 날아

2022. 11. 11. 12:10안보 [국방]

국산 전투기 KF-21 1호기에 이어 2호기도 첫 비행 성공시속 40735분간 날아

 

 

KF-21 보라매 2호기 시속 약 407㎞ 정도로 비행 / "1호기와 특성 유사해 비행 용이했다" / 7월 19일 1호기에 이어 2호기도 성공 / 2026년까지 체계 개발하고 총 120대 배치 계획 /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 2호기가 첫 시험 비행에 성공

 

지난 71호기 초도 시험비행 성공에 이어 2호기까지 무사히 이·착륙하면서 한국형 전투기 개발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10일 오전 KF-21 시제 2호기가 개발업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인근의 경남 사천 공군 제3훈련비행단 활주로에서 이륙해 최초 비행에 성공했다.

 

KF-21 2호기는 오전 949분께 이륙에 성공했고 1024분께 지상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35분간 창공을 누비면서 각종 비행 성능을 시험했다.

 

최고 속도는 1호기 초도 비행 때와 비슷한 수준인 시속 약 407(220노트) 정도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종간은 KAI 소속 진태범 수석조종사가 잡았다. 그는 "1호기 비행 경험을 축적한 후 비행이라 2호기도 친숙했다""조종 안전성 위주의 비행이었으며 비행 특성은 1호기와 유사해 비행이 용이했다"고 말했다.

 

앞으로 KF-212호기 비행 성공에 따라 항공기 2대로 비행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시제 36호기는 지상시험과 비행시험 준비를 마치면 올해 말부터 내년 전반기까지 순차적으로 비행시험에 투입할 예정이다.

 

시제 2호기는 1호기 대비 조금 더 어두운 색상으로 동체가 도색됐다. 수직 꼬리날개는 검은색 바탕에 흰 선을 그은 1호기와 달리 검정 바탕에 노란색을 칠해 차이를 뒀다.

 

KF-21 시제기들은 향후 양산할 전투기에 적합한 도색을 검토하기 위해 시제기별로 다른 도색이 적용됐다.

 

KF-2120214월 시제 1호기 출고 이후 다양한 지상시험과 올해 6월 최초비행 준비검토회의(FFRR) 등을 통해 안전한 최초 비행이 준비됐음을 확인했고, 719일 시제 1호기가 첫 비행을 수행했다.

 

비행시험은 총 2천여 회가 계획됐으며 이를 통해 각종 비행 성능 및 공대공 무장 적합성 등을 확인하면 오는 2026년 체계개발이 종료된다.

 

KF-21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11'첨단 전투기 자체 개발'을 천명한 지 약 22년 만이자 군이 2002KF-16을 능가하는 전투기를 개발하는 장기 신규 소요를 결정한 지 20년 만에 날아올랐다.

 

국산 전투기 KF-21 시제2호기 최초비행 성공KF-21 보라매 추후 스텔스 업그레이드 계획도


 

방위사업청은 사업 타당성 분석, 탐색개발, 작전요구성능(ROC) 및 소요량 확정 등을 거쳐 201512KAI와 체계개발 본계약을 체결하고 이듬해 1월 체계개발에 착수했다.

 

KF-21 개발과 비행으로 한국은 세계 8번째 초음속 전투기 개발 국가에 성큼 다가섰다. 지금까지 초음속 전투기를 개발한 국가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프랑스, 스웨덴, 유럽 컨소시엄(영국·독일·이탈리아·스페인)뿐이다.

 

최종 개발에 성공하면 공군은 20262028년 초도물량 40대에 이어 2032년까지 추가 80대 등 총 120대를 배치할 계획이다.

 

방위사업청은 10KF-21 시제 2호기가 오전 949분쯤 경남 사천 공군 제3훈련비행단 활주로에서 이륙한 뒤 1024분쯤 지상에 착륙했다고 밝혔다. 시제 2호기는 35분간 하늘에서 각종 성능을 시험했다.

 

지난 719일 시제 1호기의 첫 시험비행 성공 이후 넉 달 만이다.

 

이날도 시제 2호기는 랜딩기어를 접지 않고 날았다. 첫 시험비행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랜딩기어를 내리고 저속 비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제 1호기도 첫 비행 후 두 달이 지난 9월에서야 랜딩기어를 동체 안으로 넣고 비행했다.

 

이날 시제 2호기를 국산 경공격기 FA-50이 따라다녔다.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보라매 시제 2호기가 1110일 첫 시험비행에 성공한 가운데 이날 조종간은 개발업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소속 진태범 수석조종사가 잡았다.

 

진 수석조종사는 “1호기 비행 경험을 축적한 후 비행이라 2호기도 친숙했다조종 안전성 위주의 비행이었으며 비행 특성은 1호기와 유사해 비행이 용이했다고 말했다.

 

시제 2호기의 동체는 시제 1호기보다 조금 더 어두운색으로 칠해졌다. 수직 꼬리날개도 검은색 바탕에 노란색 도색이었다.

 

KF-21 시제기는 모두 6대가 만들어졌는데, 시제기마다 각각 다른 도색을 할 예정이다. KAI 관계자는 위장 효과가 있으면서도 가장 멋있는 무늬와 도색을 고를 것이라고 말했다.

 

KF-21은 앞으로 1호기와 2회가 번갈아 비행시험을 한다. 시제 36호기는 지상시험과 비행시험 준비를 마치면 내년 전반기까지 순차적으로 비행시험에 투입될 계획이다.

 

방사청은 KF-212026년까지 2000회가 넘는 소티(비행횟수)의 시험비행을 거쳐 개발을 완료하며, 2029~2032년엔 공대지 기능을 더한 블록 2로 개량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후 스텔스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계획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