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특수부대 1500여명 우크라전 전선 투입 코앞…정부의 대응도 본격화

2024. 10. 26. 23:02국제 [종합]

북 특수부대 1500여명 우크라전 전선 투입 코앞정부의 대응도 본격화

 

정부 "·북 군사협력 진전추이 따라 단계적 대응 어떤 옵션도 배제 안해" / , 급기야 러·우크라젼참전 외모 닮은 러 지역 주민 위장 / 북 특수부대 1500여명 러 수송함 활용 이동 / 러 해군 함대 1990년 이후 첫 북 해역 진입 /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대응 수위를 높여나갈 전망이다. / 윤 대통령, 긴급 안보회의 열어 대책 논의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지난 22"북한의 전투 병력 파병에 따른 러북 군사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단계적 대응 조치를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단계별 대응 조치의 구체적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앞으로 단계별 시나리오를 보면서 방어용 무기 지원도 고려할 수 있고, 그 한도가 지나치다 싶으면 마지막에 공격용(무기)까지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인도적 목적의 비살상용 군수물자만 지원하고 있는데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가속하면 지대공 방공미사일 등 방어용 무기, 나아가 적 타격이 목적인 공격용 무기까지 지원을 고려할 수도 있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북한 병력의 우크라이나 전선 투입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쏟아지면서 정부의 대응 또한 여러 방면에서 전개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군이 이달 2728일 전투지역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지난 25(현지시간) 텔레그램을 통해 밝혔다.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은 이미 북한군이 지난 23일 러시아 본토 쿠르스크에서 목격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부 "러·북 군사협력 진전추이 따라 단계적 대응 어떤 옵션도 배제 안해"
정부 "러·북 군사협력 진전추이 따라 단계적 대응 어떤 옵션도 배제 안해"
정부 "러·북 군사협력 진전추이 따라 단계적 대응 어떤 옵션도 배제 안해"


                        국정원, , 외모 닮은 러 지역 주민 위조 신분증 발급받아정부 대응도 본격화

국정원, “북한군 러시아 군복과 러시아제 무기 지급 받아 북한과 유사한 용모의 시베리아 야쿠티야·부라티야 지역 위조 신분증 발급받아 위장 북한과 러시아는 조만간 2차 수송 작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해군 함대가 북한 해역으로 진입한 것은 1990년 이후 처음이다. 북한 특수부대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정은, 특수부대 파병에 앞서 두 차례 참관

국가정보원은 지난 18일 오후 북한이 지난 8일부터 러시아 파병을 위한 특수부대 병력 이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지난 8월 초 북한 미사일 개발의 핵심인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수십 명의 북한군 장교와 함께 수차례에 걸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 인근의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발사장을 방문해 현지지도하는 정황을 포착했다.

 

국정원은 이후 북한군 동향에 대한 밀착 감시에 나섰으며 북한이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러시아 해군 수송함을 활용해 특수부대를 러시아 지역으로 수송하는 것을 포착함으로써 북한군의 참전 개시를 확인했다.

 

러시아 태평양함대 소속 상륙함 4척과 호위함 3척은 이 기간 북한 청진과 함흥, 무수단 인근 지역에서 북한 특수부대 1500여명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1차 이송 완료했다.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 군인들은 현재 극동지역 블라디보스토크와 우수리스크, 하바롭스크, 블라고베셴스크 등에 분산돼 러시아 군부대에 주둔 중이다.

 

러시아 공군 소속 AN-124 등 대형 수송기도 블라디보스토크와 평양을 수시로 오가고 있다.

이들은 적응 훈련을 마치는 대로 전선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은 은 지난달 11일과 이달 2일 두 차례에 걸쳐 특수전 부대를 참관해 러시아 파병에 앞서 직접 점검하고 격려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국정원은 북한군은 러시아 군복과 러시아제 무기를 지급 받았으며 북한인과 유사한 용모의 시베리아 야쿠티야·부라티야 지역 주민 위조 신분증을 발급받았다전장 투입 사실을 숨기기 위해 러시아군으로 위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국정원은 북한이 작년 8월 이후 현재까지 총 70여 차례에 걸쳐 13000여개가 넘는 컨테이너 분량의 포탄과 미사일, 대전차로켓 등 살상무기를 러시아에 지원했을 것으로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국방정보총국이 전장에서 수거한 북한제 무기를 확인한 결과 북한은 러시아에 122포탄과 152포탄, 불새-4 대전차미사일, KN-23을 비롯한 SRBM, 그리고 RPG 대전차 로켓 등을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정원은 그동안 북러를 오간 화물선 선적 컨테이너 규모를 감안할 때 지금까지 122포탄과 152포탄 등 총 800여만 발 이상이 러시아에 지원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앞서 북한이 러시아에 지원한 KN-23이 수도 키이우 등 주요 도시 공격에 활용됐으며 이로 인해 상당수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은 다수의 북한제 무기들이 불량률이 높고 정확도가 낮아 정밀타격용보다는 전선 유지 목적의 물량공세용으로 쓰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러시아는 미국·서유럽 등과 달리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공격용 무기를 공급하지 않는 점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직접 "대단히 감사하다"고 밝히는 등 한국의 '공격용 무기 지원'을 일종의 한러관계 레드라인으로 삼아왔다.

 

하지만 북한의 대러시아 병력 파견으로 먼저 선을 넘어버린 이상 한국의 우크라이나를 위한 공격용 무기 지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대러·대북 경고 차원에서 한국이 어디까지 나아갈 수 있는지를 '공격용 무기 지원 언급'으로 예고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이와 같은 군사적 차원의 직접적 조치에 앞서 외교적 대응에 먼저 착수할 것이라고 한 관계자는 전했다.

 

실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5(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진행된 한미일 국가안보실장 회의 이후 취재진과 만나 북러 협력과 관련해 외교적 차원에서 계속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안 되면 유엔총회에서 하고, 유엔보다 규모는 작지만 유사 입장국, 가치 공유국끼리 시스템을 활용해 계속 문제를 제기하면 첫술에 배부르지는 않겠지만 (러시아나 북한에는) 제약이 된다"고 밝혔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일으킨 침략 전쟁에 북한이 가담한 꼴이라 안보리 시스템은 무력화됐지만, 다른 국가들과 지속해 연대하면서 북러를 압박하는 것이 후속 대응의 첫발일 수 있다는 취지다.

 

외교적 대응과 관련해 정부는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관련 정보 공유를 위해 대표단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파견한다고 밝혔다.

 

국정원 1차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은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북한군 파병 동향을 브리핑하며, 동시에 유럽 측 정보도 얻을 예정이다.

 

유라시아 대륙 동쪽과 서쪽에서 산발적으로 쏟아지던 북한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한 각국의 정보를 취합해 전체적 그림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한 자리가 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의 전투 병력 파병에 따른 러북 군사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단계적 대응조치를 실행해 나가겠다""어떠한 옵션도 배제하지 않고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정원 관계자는 그간 해외 언론들이 제기한 북러 직접적 군사협력 의혹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우방국과의 긴밀한 정보협력을 통해 북러 군사협력 움직임을 지속 추적·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안보회의를 주재하고 북한 전투병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한 대책을 논의했다.

 

국가안보실과 국방부, 국정원 핵심 관계자 등이 참석한 이 자리에서는 최근 북한군의 러시아 이동과 북한의 러시아 전쟁 지원 정보가 공유됐다.

 

또 북러 군사 밀착이 군사 물자 지원을 넘어 실질적 파병으로 이어진 작금의 상황이 한국은 물론 국제사회를 향한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