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둔화에도 가공식품 물가 2년 연속 7%대…2년 전보다 두 자릿수 상승

2023. 11. 13. 04:10생활 [물가]

물가 상승률 둔화에도 가공식품 물가 2년 연속 7%2년 전보다 두 자릿수 상승

 

정부, 주요 농식품 28개 품목 전담자 지정 / 가격 동향 매일 체크하고 관리 / 2년 사이 약 15% 뛰는 가공식품 물가 / 가공식품 9·외식 5, 2년 전보다 두 자릿수 상승 / 갈수록 커지는 장바구니 물가 부담 / 우윳값 1년 만에 14.3% 올라 / 외식물가 상승률 품목 80%가 평균 이상 피자 12.3% / 사과 지난해보다 약 40% 올라 / “MB물가도 결국 실패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12일 우유 소비자물가지수는 122.03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3% 올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8(20.8%) 이후 142개월 만의 최고치다.

 

정부가 농식품 28개 품목의 물가를 밀착 관리하기로 한 것은 이들 품목에 대한 소비자들의 물가 체감도가 그만큼 높기 때문이다.

 

이번에 전담자가 지정된 가공식품 9개 품목에는 빵과 우유, 라면, 아이스크림, 밀가루 등이 포함됐고 외식 5개에는 햄버거, 피자, 치킨 등이 들어갔다. 농축산물 14개 품목은 쌀, 배추, 사과 등이다.

 

최근 이들 품목의 물가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지만, 물가 부담 자체가 줄어든 것은 아니어서 정부는 평소 서민들이 많이 찾는 이들 품목을 밀착 관리해 물가 안정에 총력 대응할 방침이다.

 

또 설탕은 17.4%, 아이스크림은 15.2%, 커피는 11.3% 각각 올랐다.

 

설탕은 2년 전인 202110월과 비교해 34.5%나 올랐고 아이스크림은 23.8%, 커피는 23.0% 각각 상승했다.

 

빵 물가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5.5% 올랐지만 2년 전보다 21.6%나 상승했다 식용유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오르는 데 그쳤지만 2년 전과 비교하면 47.9%나 높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가공식품 9개 품목의 물가 관리 전담자를 지정했는데 이들 품목의 물가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달 밀가루 물가는 1년 전 대비 0.2% 내리긴 했지만 2년 전보다 36.5%나 높다. 물가가 이미 올라 있는 상태에서 최근 소폭 하락한 것이다.

 

라면 물가도 1년 전 대비 1.5% 하락했지만 2년 전보다 10.0% 높고 스낵 과자는 1년 전보다 0.9% 내렸지만 2년 전보다 12.7% 높다.

2년 사이 약 15% 뛰는 가공식품 물가 총력전 다짐했지만 정부,‘실효성 의문’ MB 때보다 더 지독한 인플레 빵 물가 작년보다 5.5%이대로 가면 가공식품 물가 2년 연속 7%대 상승2009MB정부 시절 이후 처음 물가체감도 큰 품목 밀착관리 물가 상승률 둔화에도 사과·배추, 2년 전보다 60% 이상 올라 불안 농축산물 14개 품목도 집중 점검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가 10월까지 누계비로 7.6%를 기록했다. 연간으로도 7%에 육박할 가능성이 크다. 2년 연속 이 정도로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던 때는 2009년이 마지막이다. 이른바 ‘MB(이명박 정부) 물가시절이다.

라면과 스낵 과자는 식품기업들이 정부 압박에 일부 제품 가격을 내리면서 최근 물가가 소폭이나마 내린 것이다.

 

농식품부가 밀착 관리하는 외식 부문 5개 품목도 상황이 크게 다르진 않다.

 

지난달 치킨 물가는 1년 전보다 4.5% 올랐지만 2년 전보다 15.2%나 높다. 햄버거도 1년 전보다 6.8% 올랐지만 2년 전과 비교하면 19.6% 상승한 상태다.

 

이들 가공식품과 외식 품목의 가격은 연말까지 더 오를 가능성은 작지만, 중동 불안으로 인한 국제유가 강세 등의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온 부처가 인플레이션 잡기 총력전에 나섰다. 다만, 어느정도로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MB정부 당시에도 물가를 잡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역설적으로 물가는 MB정부 임기 말인 2012년이 돼서야 안정됐다. 물가는 정부의 인위적 개입만으로 잡을 수 있는 영역이 아니란 회의론이 그래서 나온다.

 

11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는 10월 누계비로 7.6%를 기록했다. 연초에 비하면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최근 5개월간 하락폭도 매달 0.2~0.3%포인트 수준에 불과하다. 이대로 가면 연간 7%대의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7.8%에 이어 2년 연속 7%를 상회하는 것이다. 그러면 불과 2년 사이 가공식품 물가가 15% 가량 높아진다.

 

가공식품 물가는 서민 생활에 직접 영향을 준다. 대부분 품목이 우리 식탁에 올라가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라면과 빵 소비자물가는 누계비로 모두 10.1% 상승했다. 식용유(11.2%), 아이스크림(11.5%) 등도 10%대를 상회했다. 치즈는 23.1%나 급등했다.

 

 

직접 가격 지표로 봐도 가공식품 값은 크게 올랐다.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으로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가공식품 32개 품목 가운데 13개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보면 햄 10당 가격이 지난해 10월보다 37.7%나 올라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케첩(100·36.5%), 된장(100·29.6%), 간장(100mL·28.6%), 참기름(10mL·27.8%), 카레(10·25.4%), 마요네즈(100·24.1%)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정부도 이를 인지하고 물가관리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는 등 인플레이션 억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라면··과자·커피·아이스크림·설탕·우유 등 7개 먹거리 물가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15년 전 MB정부 시절이 회자된다. ‘MB물가대책은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등장했다. 당시 유가가 뛰고 국제원자재 가격도 급등하자 민생 안정과 밀접한 52개 품목을 관리대상으로 정했다. 해당 품목의 지수 평균은 MB물가지수가 됐다.

 

2012년엔 정부가 물가안정 책임제를 시행하면서 1급 공무원이 서민 생활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물가 관리를 책임지도록 했다. 당시 농식품부 먹거리 물가 관리 대상은 쌀, 배추, 고추, 마늘, 양파,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가공식품 등이다.

 

다만, MB물가 정책은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금리가 아닌 수단으로 가격을 인위적으로 통제하려는 시도 속에서 오히려 부작용이 나타났다는 지적도 있다. 가격을 억누르면 반발력도 커진다. 억제는 불가능하고 오히려 폭등세만 부추길 수 있다. 실효성이 없고, 시장주의 원칙에도 위배된다.

 

실제로 물가는 MB정부 내내 안정되지 못했다. 200710월 처음 3%대에 진입한 물가는 약 20개월 20095(2.7%) 2%대에 안착하는듯 했으나, 2분기만인 20101월 다시 3.5%로 뛰었다. 이후 내내 정부를 괴롭히다 임기 말인 2012년이 돼서야 안정됐다.

 

농식품부도 이런 불안 요인을 고려해 가격을 매일 점검하고 관련 품목 생산 업체, 소비자단체와 소통하며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물가 안정 정책에 대한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상 저온으로 일부 농축산물 가격도 급등해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무려 72.4% 올랐고 생강은 65.4%, 파는 24.6%, 토마토는 22.8% 각각 올랐다.

 

배추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1% 하락했지만 2년 전보다 63.5% 높은 상태다. 무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2% 떨어졌으나 2년 전보다 39.1% 높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신선 농산물은 원래 품목별 담당자가 있어 매일 체크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가공식품도 마찬가지로 전담자를 지정해 업계와 가격 동향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